
전길자 명예교수
퇴직| 이메일 | e600189@ewha.ac.kr |
| 소속 | 이화여자대학교 |
| 부서/학과 | 화학·나노과학전공 |
| 사무실 번호 | 0232772334 |
| 연구실 | 이화여자대학교 종합과학관 B동 312호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 |
| 이메일 | e600189@ewha.ac.kr | 소속 | 이화여자대학교 |
| 부서/학과 | 화학·나노과학전공 | 사무실 번호 | 0232772334 |
| 연구실 | 이화여자대학교 종합과학관 B동 312호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 | ||
연구자 개요
전길자 교수는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세포 분화 및 질병 기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거핵구 및 혈소판 형성 과정의 분자생물학적 시스템을 규명하고, 비소세포 폐암 관련 멀티오믹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질병의 임상적 유의성을 파악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체 내에서 실시간으로 생체분자 및 가스(산소, 일산화질소)를 측정하고 이미징하는 정밀 전기화학 나노센서 및 형광 센서 개발에 주력하며, 생체신호 모니터링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로 '봉한관(Primo Vascular System)'이라는 새로운 순환계의 산소전달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통한 조직 산소화 및 질병과의 연관성을 탐색하여 생명 현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천연물 유래 약리 활성 물질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이를 스마트 나노입자와 결합하여 약물 전달 및 치료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사슴뿔(녹용), 홍화씨 등 다양한 천연물에서 혈액 형성, 골 재생, 항암 등 다각적인 생리활성을 규명하며 바이오 신소재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및 치료, 바이오 신소재 개발 분야에 기여하며 생명과학 연구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경력 정보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화학생명분자과학부 전임교수로 재직하며 생화학 분야의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하고, 다양한 학술진흥과제 및 유전자 발현 연구, 분자생물학적 시스템데이터 생산연구, 폐암 관련 multiomic 데이터 생산 및 분석, 산소전달기전 규명 등 다수의 국가 연구과제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논문 발표 및 특허 출원을 통해 학술적, 기술적 성과를 창출했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처장으로서 학생 복지 증진 및 학사 행정을 총괄하며, 학생 서비스 개선 및 교육 환경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장으로서 연구소의 운영 및 기초과학 분야 연구 활동을 기획, 관리하여 학술 연구 역량 강화에 기여했습니다.
전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센터장으로서 여성 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여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여성의 참여를 확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로 추대되어 학교의 학문적 위상 제고 및 후학 양성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학력
중요 키워드
문의처

이화여자대학교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