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상세
이민영

이민영 명예교수

퇴직
이메일-
소속이화여자대학교
부서/학과화학·나노과학전공
사무실 번호-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

연구 분야

1

초고속 분광학 기반 광학 계측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초고속 현상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차세대 분광학 기술 및 첨단 광학 계측 장비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피코초(picosecond) 영역의 극미세 시간 스케일에서 발생하는 분자 및 나노 물질의 동력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제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핵심적으로 피코초 분해능을 갖는 시간상관 단광자 계수(TCSPC) 장치와 시분해 발광 스펙트럼 측정 시스템의 설계, 구성 및 동작 특성 평가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자체 개발한 계측 장비는 높은 시간 분해능과 감도를 제공하며, 복잡한 물리-화학적 현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분광학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어, 더욱 정밀하고 심층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초고속 분광학 및 계측 기술은 화학 반응 메커니즘 규명, 신소재 개발, 생체 분자 상호작용 연구 등 다양한 과학 및 산업 분야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나노 스케일에서의 에너지 전달 과정이나 전하 이동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를 제공하며, 학술 연구의 깊이를 더하고 새로운 응용 분야를 개척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2

TCSPC 기반 시분해 분광 분석 및 응용

본 연구 분야는 시간상관 단광자 계수(TCSPC) 기법을 핵심 도구로 활용하여 다양한 물질의 시분해 분광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물질의 동력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집중합니다. 특히 나노 스케일 물질 및 복잡한 화학 시스템의 광물리적 특성 이해를 목표로 합니다. TCSPC는 단일 광자 수준의 신호를 고감도로 검출하고, 광자가 도달하는 시간을 피코초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하여 형광 수명(fluorescence lifetime) 및 기타 시간 의존적 스펙트럼 정보를 얻는 기술입니다. 본 연구는 이 TCSPC 장치 및 시분해 발광 스펙트럼 측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 특성 평가에 대한 선도적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를 실제 응용 연구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물질 내 에너지 전이, 전자 이동, 구조 변화 등 미시적 현상을 실시간으로 포착하여 기존의 정상 상태(steady-state) 분석으로는 불가능했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TCSPC 기반 분광 분석은 신소재의 광학적 특성 평가, 생체 분자의 상호작용 연구, 환경 유해 물질 검출, 태양 전지 효율 증대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정밀한 시간 정보를 통해 물질의 기능적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기능성 재료 및 장치 개발에 기여하며, 학술적 진보와 산업적 가치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3

나노화학 및 분자동력학 광 반응 메커니즘 분석

본 연구실은 나노 스케일 물질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분자 단위의 동력학적 광 반응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나노 물질의 독특한 광학적, 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제어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성 재료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연구는 초고속 레이저 분광학 및 시간상관 단광자 계수(TCSPC)와 같은 첨단 광학 계측 기술을 활용하여 나노 입자, 양자점, 나노 복합체 등 다양한 나노 물질의 여기 상태 동력학(excited state dynamics) 및 에너지 전달 과정을 피코초 단위로 분석합니다. 분자동력학적 관점에서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이를 통해 나노 물질의 크기, 형태, 표면 특성이 광 반응 효율 및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나노 스케일에서의 미시적 현상을 거시적 기능과 연결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나노화학 및 분자동력학적 이해는 고효율 태양 에너지 전환 시스템, 차세대 광촉매, 바이오 이미징 및 진단 기술, 양자 광학 소자 등 다양한 첨단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나노 물질 기반의 광전자 소자 성능 향상 및 안정성 확보에 기여하며, 학술적으로는 나노과학 분야의 기본적인 이해를 증진하고 산업적으로는 혁신적인 나노 기술 개발에 필요한 핵심 지식을 제공하여 미래 과학 기술 발전에 이바지합니다.

경력 정보

1993.07.01 ~ 2019.08.31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전임교수로 신규 임용되었으며, 1999년 2월부터 2000년 7월까지 화학·나노과학전공 주임교수를 역임했습니다. 재직 중 피코초(picosecond) 분해능을 갖는 시간상관 단광자 계수(Time-correlated Single Photon Counting; TCSPC) 장치와 시분해 발광 스펙트럼 측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 특성을 평가하는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초고속 분광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학력

Ph.D. Univ. of Pennsylvania

중요 키워드

광학계측TCSPC시분해스펙트럼나노과학피코초분광학분자동력학학술연구단광자계수분광학계측기개발초고속레이저화학

문의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이름이화여자대학교
이메일tlo@ewha.ac.kr
연락처000-0000-0000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