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상세
박형곤

박형곤 교수

재직중
이메일hyunggon.park@ewha.ac.kr
소속이화여자대학교
부서/학과전자전기공학전공
사무실 번호0232773896
연구실멀티미디어 통신 및 네트워크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https://mcnl.ewha.ac.kr/mcnl/index.do

연구자 개요

박형곤 교수는 6G, IoT, 애드혹 네트워크 등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관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강화학습, 오토인코더 경량화), 게임이론(Nash Bargaining Solution)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보안, 자원 할당, 이상 탐지 분야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특히, 사이버 공격 특징 분석을 통한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위한 신뢰 기반 통신 및 네트워크 구축, V2G(Vehicle-to-Grid) 시스템의 에너지 그리드 최적화, 웨어러블 기기 및 산업용 스마트 센싱 데이터를 활용한 이상 탐지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신뢰, 고효율의 지능형 통신 시스템 구현에 기여하며, 미래 네트워크 환경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 분야

1

6G/IoT 기반 지능형 통신 네트워크 및 자원 최적화

본 연구실은 6G, IoT, 애드혹 네트워크 등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관리하기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합니다.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강화학습, 오토인코더 경량화) 및 게임이론(Nash Bargaining Solution)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보안, 자원 할당, 이상 탐지 분야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특히,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위한 신뢰 기반 통신 및 네트워크 구축, V2G(Vehicle-to-Grid) 시스템의 에너지 그리드 최적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네트워크 환경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증진하며, 고신뢰, 고효율의 지능형 통신 시스템 구현에 기여합니다. 다양한 참여 과제와 논문을 통해 6G 네트워크 구조 개발, 5G 데이터 분석, 그리고 효율적인 자원 운용 알고리즘 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V2G 시스템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2

머신러닝 기반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및 사이버 이상 탐지

본 연구실은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및 이상 탐지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이버 공격 특징 분석을 통한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 및 산업용 스마트 센싱 데이터를 활용한 이상 탐지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오토인코더 경량화, 확률 그래프 모델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상의 복잡한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침입 및 이상 행위를 효과적으로 탐지합니다. 관련 연구는 IoT 네트워크에서의 견고한 계층적 이상 탐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경량 음향 이상 탐지 알고리즘, NetFlow IoT 데이터셋을 위한 공격 특정 기능 분석 프레임워크 등을 포함하며, 다수의 논문과 함께 적대적 공격에 강건한 이상 탐지 방법, 오토인코더 경량화, 인공신경망 경량화 관련 특허를 출원 또는 등록하였습니다. 이는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고 고신뢰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3

네트워크 코딩과 게임 이론을 활용한 통신 자원 관리

본 연구실은 네트워크 코딩과 게임 이론을 활용하여 통신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데이터의 신뢰성 및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행렬 분해 기반 저복잡 네트워크 코딩, 조직 네트워크 코딩 등 다양한 네트워크 코딩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Nash Bargaining Solution과 같은 게임이론을 적용하여 동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노드 간의 자원 할당 및 협상 전략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V2I(Vehicle-to-Infrastructure) 네트워크 환경에서 고신뢰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연구 성과로는 IoT 메시지 전달을 위한 네트워크 코딩, 동적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코딩 기반 진화적 네트워크 형성, V2I 환경에서 체계적 네트워크 코딩을 이용한 고신뢰 전송 방법 등이 있습니다. 관련하여 분산적 자가 구성 무선 네트워크, 저전력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 관리, 자원 할당 및 네트워크 코딩 관련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 통신 환경에서의 실증적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경력 정보

2023.02.01 ~ 재직중
이화여자대학교

정보통신 관련 업무 총괄 및 관리

2021.02.01 ~ 2023.01.31
이화여자대학교

차세대기술공학부 운영 및 관리

2021.02.01 ~ 2023.01.31
이화여자대학교

전자전기공학 전공 주임 업무 수행

2020.02.01 ~ 2021.01.31
케임브리지대학교

방문연구원으로서 지능형 헬스케어를 위한 머신러닝, 지능형 네트워크 및 메디컬 데이터 분석 핵심 알고리즘 연구 수행

2020.02.01 ~ 2021.01.31
앨런튜링연구소

연구원으로서 지능형 헬스케어를 위한 머신러닝, 지능형 네트워크 및 메디컬 데이터 분석 핵심 알고리즘 연구 수행

2016.10.31 ~ 2017.03.31
이화여자대학교

입학처장 직무 대행

2016.03.01 ~ 2017.03.31
이화여자대학교

입학 정책 관련 업무 총괄 및 기획

2015.09.01 ~ 2017.03.31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사정관 업무 수행

2015.02.01 ~ 2016.02.29
이화여자대학교

입학 정책 관련 업무 수행 (서리)

2009.04.01 ~ 2010.02.28
EPFL

박사후 연구원으로서 관련 연구 수행

-
IBM T. J. Watson Research Center

인턴 연구원으로서 관련 연구 수행

대외활동

[학회/위원회 활동] - IEEE Senior Member - 한국통신학회 종신회원 - 한국통신학회 논문지(J-KICS) 편집장(Editor-in-Chief) - 제1회 한국 인공지능 학술대회 프로그램위원 [공동 연구/지원 사업] -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및 영국 국립 앨런 튜링 연구소와 '지능형 헬스케어를 위한 머신러닝' 공동연구 진행.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지능형 네트워크 개발 및 머신러닝 기반 메디컬 데이터 분석 핵심 알고리즘 연구 수행. - 연암문화재단 지원사업 선정 및 국제공동연구 진행 (금 나노입자를 활용한 식물 유전물질 전달 시스템, 지능형 헬스케어를 위한 머신러닝, 폐암 미세환경에서 마이크로 RNA의 역할). [수상 내역] - 2004년 과학기술부 한국과학재단 해외 석박사 취득사업 장학생 - 2018년 한국공학교육학회 젊은공학교육자상 - 2013년도 한국통신학회 추계종합학술발표회 학부 논문 경진대회 최우수상 - 2013년도 한국통신학회 추계종합학술발표회 젊은 여성연구자상

학력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Electrical Engineering Ph.D.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Electrical Engineering M.S. 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공학사 (2004)

중요 키워드

데이터 분석머신러닝네트워크이상 탐지네트워크 코딩V2G인공지능IoT6G게임이론5G최적화자원 할당통신기술스마트팩토리

문의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이름기술사업화센터
이메일tlo@ewha.ac.kr
연락처02-3277-3953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