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상세
이진규

이진규 교수

재직중
이메일jkrhee@ewha.ac.kr
소속이화여자대학교
부서/학과식품생명공학과
사무실 번호0232774297
연구실식품산업융합기술연구소
연구실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http://ewha.ac.kr/faculty/jkrhee

연구자 개요

이진규 교수는 혁신적인 섬유 제조 기술과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의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분자 용액을 이용한 미세섬유 및 직조형 섬유 제조 장치 개발에 주력하며, 이를 통해 기계적 강도와 기능성을 갖춘 섬유 소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식품공학 분야에서는 이러한 섬유화 기술을 응용하여 식품용 대체육 및 배양육 껍질 제조를 위한 섬유형 스캐폴드와 대체 단백질의 물성 조절용 첨가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미래 식품 산업의 핵심 기술로 기대됩니다. 또한, 3D 프린팅 분야에서는 다공성 블록 제조 장치, 다종 소재 출력 시스템, 그리고 음파 부양을 이용한 정밀 프린팅 장치 연구를 통해 첨단 소재 가공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 산업뿐만 아니라 인공 피부 등 바이오 소재 및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과 공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연구 분야

1

혁신적인 섬유 제조 및 바이오/식품 응용 기술

본 연구실은 고분자 용액을 활용한 혁신적인 섬유 제조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미세섬유 및 직조형 섬유 제조 장치 개발에 주력하며, 이를 통해 기계적 강도와 기능성을 갖춘 고품질 섬유 소재 생산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1 작용유닛과 제2 작용유닛 간의 왕복운동을 통해 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코팅하거나 특정 구조로 직조하는 장치에 대한 다수의 특허('섬유 제조장치', '미세섬유 제조 및 코팅장치', '직조형 섬유 제조 장치', '접촉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섬유 제조 장치' 등)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섬유화 기술은 단순히 공학적 발전을 넘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식품공학 분야에서는 대체육 및 배양육의 식감과 형태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인 껍질 및 스캐폴드 제조에 응용되어, 미래 식품 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 피부와 같은 바이오 소재 개발에도 활용되어 재생 의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첨단 섬유 공학 기술을 기반으로 식품,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차세대 소재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2

첨단 3D 프린팅 기반 식품 및 소재 가공 기술

본 연구실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소재의 정밀 가공 및 구조물 제조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다공성 블록 제조 장치, 다종 소재 출력 시스템, 그리고 음파 부양을 이용한 정밀 프린팅 장치 연구를 통해 첨단 소재 가공 기술의 한계를 넓히고 있습니다. 특히, 분말 형태의 재료를 이용한 다공성 블록 제조 방법과 인쇄 재료를 공중 부양시켜 정밀한 패턴을 형성하는 음파 부양 프린터 장치에 대한 독점적인 기술('다공성 블록 제조장치', '프린터 장치', '음파 부양을 이용한 프린터 장치')을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3D 프린팅 기술은 식품 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맞춤형 식품 제조, 고령친화식품의 물성 특성화, 그리고 대체육/배양육의 복잡한 구조 구현 등 다양한 식품 가공 분야에 적용되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 소재의 미세분쇄 및 마이크로디스펜싱 적합 소재 연구, 초저온분쇄와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블록형 구조물 개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이 분야의 전문성을 입증했습니다. 이 기술은 식품 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메디컬 소재 등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지속가능한 미래 식품: 대체육 및 배양육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미래 식품 산업의 핵심 분야인 대체육 및 배양육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이 분야의 상용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식품용 대체육 및 배양육의 질감과 형태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섬유형 스캐폴드 제조 기술과 대체 단백질의 물성을 조절하는 섬유형 첨가제 개발에 대한 특허('식품용 대체육 및 배양육 껍질 또는 인공 피부 제조를 위한 섬유형 스캐폴드', '대체 단백질의 물성 조절용 섬유형 첨가제')를 통해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력은 'Next Meat'이라는 3D 프린팅 기반 대체육 기술로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하는 쾌거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해양수산부 주관의 '수산배양육 생산 기술개발' 과제(5년간 총 85억 6천만 원 지원)를 주관하며 능성어, 굴, 키조개 등 다양한 수산배양육의 세포 배양, 전용 배지 및 지지체 개발, 원물 식감 및 향미 구현, 그리고 시제품 개발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이진규 교수는 이화여자대학교 기술지주 자회사인 SuFAB Inc.의 CEO로서 연구실에서 개발된 기술의 상용화 및 사업화를 직접 이끌고 있으며,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표창을 수상하며 그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식량 공급과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경력 정보

2015.03.01 ~ 재직중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 분야 교육 및 연구 수행, 첨단 식품 기술 개발 주도

2019.01.01 ~ 재직중
SuFAB Inc.

이화여자대학교 기술지주 자회사 CEO로서 식품 분야 기술 상용화 및 사업화 총괄. 대체육 및 배양육 관련 기술 상용화 주도.

2019.08.01 ~ 2021.01.31
이화여자대학교

교내 창업 활성화 및 보육 기업 지원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2019.08.01 ~ 2021.01.31
이화여자대학교

기업가 정신 함양 교육 및 창업 지원 활동 수행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선임연구원 및 책임자로서 연구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

2008.01.01 ~ 2012.12.31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Pfizer 박사후 연구원으로서 생명공학 분야 연구 수행

강의

2025-2학기: 식품가공학, 나노식품공학 2025-1학기: 유기화학Ⅰ, 식품가공설계및실험 2024-2학기: 식품가공학, 식품공학세미나Ⅰ, 식품콜로이드 2024-1학기: 유기화학Ⅰ, 식품가공설계및실험, 식품공학세미나Ⅳ 이외 다수

대외활동

[기술사업화 활동] - SuFAB Inc. CEO (2019년부터) [학술 활동] - Journal of the Polymers,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Microbiology Letters 등 다수 학술지 논문 심사위원 - 한국 기관 연구비 제안서 심사위원 [직책] - 식품산업융합기술연구소장

학력

연세대학교(서울) 공학박사(생명공학과) 연세대학교(서울) 공학석사(식품생물공학과) 연세대학교(서울) 공학사(생명공학과)

중요 키워드

스마트푸드라만분광지속가능식품나노기술식품가공스캐폴드단백질바이오컨쥬게이션프린터장치메타볼로믹스분자진화대체육배양육섬유제조식품3D프린팅

문의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이름기술사업화센터
이메일tlo@ewha.ac.kr
연락처02-3277-3953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