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전 상세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존 유기 태양전지는 제한적인 광흡수 효율과 금속 나노입자 사용 시 발생하는 응집 등의 문제로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본 기술은 레이저 간섭 리소그래피(LIL)를 활용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된 2차원 금속 나노구조체를 유기 태양전지 버퍼층 내에 형성합니다. 이를 통해 플라즈모닉 효과를 극대화하고, 광 흡수 대역을 가시광선부터 적외선까지 넓혀 광전류 밀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킵니다. 결과적으로 에너지 전환 효율(PCE)을 45% 이상 향상시켜 고효율 유기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습니다.
| 기술명 | 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금속 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
| 기관명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
| 대표 연구자 | 김동하 | 공동연구자 | - |
| 출원번호 | 1020170174946 | 등록번호 | 1020917980000 |
| 권리구분 | 특허 | 출원일 | 2017.12.19 |
| 중요 키워드 | 금속 나노구조체나노닷 제조플라즈모닉 효과재생에너지 기술유연 태양전지태양전지 효율버퍼층 기술고효율 태양광유기 태양전지유기 광전지신재생 발전에너지 전환 효율플라즈몬 나노입자레이저 리소그래피광 흡수 확대화학전기/전자기계/소재에너지/자원 | ||
| 1 | 기술이전 상담신청 |
| 2 | 연구자 미팅 |
| 3 | 기술이전 유형결정 |
| 4 | 계약서 작성 및 검토 |
| 5 | 계약 및 기술료 입금 |

보유 기술 로딩 중...
인기있는 기술 로딩 중...